교통비 부담을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는 알뜰교통플러스 카드 신규 발급이 시작되었다. 알뜰교통플러스 카드는 교통비를 최대 30% 까지 절약 할 수 있다 알뜰교통플러스 카드는 국토교통부가 카드사와 손잡고 시민들의 교통비 부담 완화를 위해 시행하는 사업이다.
지난 2020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행했는데, 사용자가 꾸준히 늘자 이번에 마일리지 적립 횟수를 44회에서 60회로 늘리고 제휴 금융사도 기존 6곳(신한·우리·하나카드, 캐시비, 티머니, 디지비(DGB)대구은행)에서 7곳(삼성·국민·현대·농협·비씨카드, 광주은행, 케이뱅크)을 추가해 총 13곳으로 확대했다. 알뜰교통플러스 카드 의 혵택을 받으려면 카드사에서 알뜰교통플러스 카드를 발급받은 뒤 알뜰교통카드 앱에 등록해야 한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마다
출발하는 곳과 도착하는곳을 입력하면 이동 거리에 비례해 마일리지가 쌓인다. 한 달에 15번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적립된 마일리지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35살 이상 일반 이용자가 매일 요금 4천원(왕복 8천원)을 내고 800m 이상 이동하면, 한달 교통요금 24만원에서 마일리지로만 3만6천원(15%)을 되돌려받을 수 있다. 여기에 4만원가량 카드사 혜택을 통해 돌려받는다고 가정하면 매달 교통비 37.2%를 아끼는 셈이다.
카드사별로 혜택과 한도에 따라서
필요한 이용 실적이 달라 자세히 비교해봐야 한다. 카드 발급이 가능한 카드사는 신한·하나·우리·국민·현대·비씨·농협카드 등(신규 취급 포함) 7곳이다. 할인율로 봤을 때엔 하나카드가 20%로 가장 높지만다. 하지만 전월 실적이 50만원 이상이어야 하고 월 최대 할인 한도는 1만5천원이다. 연회비도 1만7천원으로 7개 카드사 상품 중 가장 비싸다. 할인한도가 가장 높은 건 우리카드다. 할인율은 10%로 낮지만 전월 실적이 120만원 이상인 경우 월 4만원까지 할인해준다.
최근 전용 상품을 내놓은
비씨카드와 국민·삼성카드는 연회비를 파격적으로 낮췄다. 비씨카드는 국내전용 6천원(해외 겸용 7천원)이고, 국민·삼성카드는 8천원이다. 비씨카드는 15% 할인율을 제공하고, 월 최대 한도는 1만5천원이다. 국민카드는 10% 할인율에 월 최대 5천원까지 할인해 준다. 현대카드는 기존의 ‘제트워크(Z work) 카드’에 알뜰교통카드 기능이 추가되며, 연회비 1만원에 월 최대 8천원 할인을 받을 수 있다. 교통비를 최대 30%까지 아낄 수 있는 ‘알뜰교통플러스 카드를 발급하고 있다. 알뜰교통플러스 카드는 국토교통부가 카드사와 손잡고 시민들의 교통비 부담 완화를 위해 시행하는 사업이다.
위 와같이 국토부는 카드업계의 수익 창출과 일반 국민들에게는 일정 금액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이용한 금액에서 일정금액을 리워드 시켜줌으로써 교통비의 부담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지속적인 고물가 계속이어짐에 따라서 조금이나마 가계에 부담을 덜어주어 물가 상승에 따른 지출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생활정보, 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 제값 받고 빨리 파는 방법 " (2) | 2024.01.20 |
---|---|
취약 계층 에너지 효율화/서둘러 신청하자 (2) | 2023.11.12 |
"세무회계사 시험 일정을정보를 알고싶으시면, 한국세무회계사 국가공인자격시험을 참고하세요!!" (2) | 2023.09.24 |
"대웅제약 피로엔 우루사 아침이 달라져요!" (2) | 2023.08.31 |
정부24 가족관계증명서, 창구가 아닌 자판기에서 출력 (0) | 2023.08.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