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광주 민주화 운동 혹은 광주민중항쟁은 1980년 5월 18일부터 5월 27일까지 광주시민과 전라남도민이 중심이 돼요, 조속한 민주 정부 수립, 전두환 보안사령관을 비롯한 신군부 세력의 퇴진 및 계엄령 철폐 등을 요구하며 전개한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이다. 당시 광주 시민은 신군부 세력이 집권 시나리오에 따라 실행한 5.17 비상계엄 전국확대 조치로 인해 발생한 헌정 파괴. 민주화 역행에 항거했으며, 신군부는 사전 시위 진압 훈련을 받은 공수부대를 투입해 이를 폭력적으로 진압 하여 수많은 시민이 희생되었다. 이후 무장한 시민군과 계엄군 사이에 지속적인 교전이 벌어져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내 언론 통제로 독일 제1공영방송 ARD의 위르게 힌츠페더 기자가 5.18 광주 민주화 운동과 그 참상을 세계에 처음으로 알렸다.
1. 12.12 군사반란
1979년 10.26 사건으로 인해 박정희 대통령이 사망한 뒤, 같은 해 전두환 등 하나회를 중심으로 한 신군부는 12.12 군사반란을 일으켜 군부를 장악하였고 실권자로 떠올랐다. 1980년 초부터 보안사령관 전구환은 K -공작 걔획을 샐 행하여 언론을 조종. 통제하기 시작했다. 전두환은 같은 해 4월 14일에 중앙정보부장 서리에 임명돼 대한민국 내의 정보기관을 모두 장악했다.
2. 1980년 5월부터 학생들의 민주화운동 과 반발하는 시위를 진합
1980년 5월 부터 정치관여 의도를 드러내는 신군부의 움직임에 대한 반발로 전두환 퇴진을 요구하는 핵생 시위가 발생했다. 같은 달 국회에서는 계엄 해제와 개헌 논의를 비롯한 정치 현안에 대란 논의를 본격적으로 진행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신군부는 정국 운영에 방해가 되는 세력등을 제거하기 위해 집권 시나리오에 따라 5월 17일 24시에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하였고, 계엄 포교령 10호를 선포하여 정치활동 금지령. 휴고령. 언론 보도검열 강화 같은 조치를 내렸다. 신군부는 김대중, 김영삼, 김종필 등을 포함한 정치인과 재야인사를 수천 명을 감금하고 군 병력으로 국회를 봉쇠했다. 광주 지역 대학생들은 5월 18일에 '김대중 석방', '전두환 퇴진', '비상계엄 해제 등의 구호를 외치며 시위를 일으켰다. 신군부는 부마민주항쟁 때처럼 광주의 민주화 요구 시위도 강경 진압하면 잠잠해질 것으로 판단하였고, 공수부대 같은 계엄군을 동원해 진압했다. 신군부는 1980년 3월부터 5월 18일 직전까지 공수부대에 충정훈련을 실시했고, 5월 초부터 군을 사전 이동 배치하고 신군부에 반발하는 시위를 진압할 준비를 마친 상태였다.
3. 광주학살의 시작
5월 18일 16시 이후로 광주 시내에 투입된 공수대원이 운동권 대학생뿐만 아니라 시위에 참여하지 않은 무고한 시민
까지 닥치는 대로 살상.폭행하는 것을 목격한 광주시민들은 두려움을 넘어 분노를 느꼈고, 그 결과 중장년층뿐만 아니라 10대 청소년까지 거리로 나서 시위에 참여하면서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은 걷잡을 수 없이 번졌다. 광주 시민들의 격력 한 저항에 부딪힌 계엄군은 5월 21일 13시경에 전남대학교와 전남도청 앞에서 집단 발포를 한 다음에 철수했다. 이 날 저녁 광주시 외곽으로 철수란 계엄군은 광주 외곽도로 봉쇄작전을 펼쳤으며, 이 과정에서 차량 통행자나 지역 주민들의 희생이 발생했다. 5월 27일 0시를 기해 계엄군은 상무충정작전을 실시해 무력으로 전남도청을 점령했다.
1995년 '5.18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 제정으로 희생자에게 하는 보상 및 희생자 묘역 성역화가 이뤄졌고, 1997년에 '5.18 민주화운동'을 국가기념일로 제정해 1997년부터 대한민국장브 주관 기념행사가 열렸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도 본 사건을 "광주인민봉기"로 부르며 해마다 기념하고 있다. 이 사건을 모티브로 하여 만들어진 대표적인 영하로 (꽃잎), (화려한 휴가), (26년), (택시운전사) 등이 있으며, 2011년 5월에는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관련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정식으로 등재되었다.
'국제, 사회,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 대행' 서비스" / 일본에 유행 중... “저 대신 사표 내주세요” (3) | 2024.04.17 |
---|---|
"얼마전 북한 김정일이 러시아 에 다녀왔다, 앞으로 동중국해, 해동에 미칠 군사, 외교의 문제는" (0) | 2023.09.21 |
"정부에서 [중국에 대하여 반대를] "대중관계의 화해를 해야할까? (0) | 2023.07.04 |
미국의 "부채 한도 인상"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0) | 2023.06.02 |
"중국 경제"의 횡포가 "흔들리는 진정한 원인"은 !! (0) | 2023.05.24 |
댓글